국내 vs 해외 CSP 예산 줄이기! 클라우드 비용 비교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할 때 가장 먼저 고민되는 건 바로 비용 아닐까요? 요즘은 AWS, Azure, Google Cloud 같은 해외 클라우드뿐만 아니라, 네이버 클라우드, KT 클라우드, NHN 클라우드 같은 국내 클라우드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문제는 가격 체감 차이가 꽤 크다는 거예요. 똑같은 사양이라도 해외 서비스는 월 10만 원 이상부터 시작하는 반면, 국내 서비스는 4만~6만 원이면 충분하거든요. 오늘은 국내 클라우드와 해외 클라우드의 비용, 지원, 트래픽 정책, 안정성까지 꼼꼼히 비교해서 어떤 선택이 가장 효율적인지 알려드릴게요.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비용 비교

국내 클라우드(CSP)는 가격 경쟁력과 빠른 기술 지원이 강점이에요. 특히 세금계산서 발행, 국문 콘솔 지원이 되어서 기업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크죠.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사양인 2vCPU, 4GB RAM, 50GB SSD 기준으로 보면, 아래와 같은 차이가 있어요.

서비스명 월 비용(원) 특징 비고
네이버 클라우드 45,000~55,000 빠른 기술 지원, 국문 콘솔 국내 기업 선호도 높음
KT 클라우드 50,000~60,000 안정적 인프라, 대기업형 운영 안정성 우수
NHN 클라우드 47,000~57,000 서비스 다각화, 빠른 대응 개발자 친화적
가비아 클라우드 약 30% 저렴 최대 4TB 무료 트래픽, 직접 기술 지원 중소기업·스타트업에 적합

가비아 클라우드는 국내 서버 환경이 필요한 기업에게 특히 매력적이에요. 트래픽 무료 제공은 물론이고, 기술지원팀이 직접 대응한다는 점이 다른 서비스와 다르죠. 특히 국내 고객 입장에서 세금계산서 발행이 되는 건 진짜 큰 장점이에요.

국내 vs 해외 CSP 예산 줄이기! 클라우드 비용 비교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비용 비교

반면 AWS, Azure, Google Cloud 같은 해외 클라우드는 글로벌 인프라와 다양한 기능이 매력적이에요. 하지만 가격은 국내보다 확실히 높아요. 2vCPU, 4GB RAM, 100GB 스토리지 기준으로 월 10만 원 이상이 기본이에요.

서비스명 월 비용(원) 트래픽 비용 주요 특징
AWS 약 110,000~130,000 1GB당 0.126~0.4달러 전 세계 인프라, 기능 다양
Azure 약 100,000~120,000 1GB당 0.15달러 내외 Microsoft 생태계 특화
Google Cloud 약 95,000~115,000 1GB당 0.12달러 이상 데이터 분석·AI 기능 강점

 

트래픽 정책 비교

클라우드 비용에서 많이 놓치는 부분이 바로 트래픽이에요. 해외 클라우드는 기본 트래픽이 적거나 유료인 경우가 많아요. AWS 기준 1GB당 최대 0.4달러라면, 1TB 전송 시 약 50,000~70,000원이 추가됩니다. 반면 가비아 클라우드최대 4TB 무료 트래픽이어서 중소기업 업로드 비용 부담을 크게 낮춰줘요.

서비스 트래픽 정책 추가비용 발생 기준
가비아 클라우드 최대 4TB 무료 4TB 초과 시 과금
네이버 클라우드 월별 기본 트래픽 제공 초과분 GB당 추가 요금
AWS 기본 없음 1GB당 0.126~0.4달러
Azure 기본 없음 1GB당 0.15달러

 

기술 지원 및 서비스 품질 ⚙️

국내 클라우드는 무엇보다 빠른 기술 대응과 국문 지원이 장점이에요. 문제 발생 시 바로 통화가 가능하고, 세금계산서 발행도 자동이에요. 반면 해외 클라우드는 이메일·포털 문의 위주라 대응이 하루~이틀 걸릴 때도 있죠. 기업 환경에서는 이런 대응 속도 차이가 실제 운영 안정성을 크게 좌우합니다.

 

국내·해외 클라우드 비용 종합 비교표

분류 서비스 월 평균 비용 트래픽 정책 지원 특징
국내 네이버 클라우드 45,000~55,000 기본 제공 국문 콘솔, 실시간 지원
KT 클라우드 50,000~60,000 기본 제공 안정적 인프라
NHN 클라우드 47,000~57,000 기본 제공 개발자 친화
가비아 클라우드 최대 30% 저렴 4TB 무료 국내 최초 통합 보안·운영
해외 AWS 110,000 이상 유료 (1GB당 0.126~0.4달러) 글로벌 인프라
Azure 100,000 이상 유료 Microsoft 전용 생태계
Google Cloud 95,000 이상 유료 AI 데이터 강점

 

현업 경험담

제가 운영하는 스타트업에서도 초기에 AWS를 썼어요. 기술은 훌륭했지만, 트래픽 비용이 매달 20만 원이 넘어서 부담이 커지더라고요. 그래서 가비아 클라우드로 옮겼는데, 비용이 절반 이하로 줄었습니다. 게다가 문제가 생겨도 한국어로 바로 통화하니 너무 편했어요. 결국 클라우드는 단지 기술이 아니라, 비용·지원·속도 삼박자를 모두 고려해야 하더라고요.

 

클라우드 선택 팁

  • 예산 중심이라면 국내 CSP (특히 가비아)
  • 글로벌 서비스 확장이 중요하다면 AWS나 Azure
  • 데이터 분석·AI 중심이라면 Google Cloud
  • 국내 거래·세금계산서가 필요한 기업은 무조건 국내 CSP 선택
  • 트래픽이 많은 서비스는 무료 제공량 높은 플랫폼 추천

 

“가성비는 국내, 글로벌 확장은 해외 — 목적에 맞게 선택하면 클라우드 비용 반으로 줄일 수 있다.”